인생실전노하우/IT노하우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설정하는 방법

베터미 2018. 5. 7. 17:32
반응형

윈도우10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하다 보면 예기치 않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랫동안 컴퓨터 사용자의 주적처럼 되어 버린 블루스크린이 그 중에 하나지요. 블루스크린이 뜨고 난 뒤 재부팅을 해서 해결이 되면 다행인데 그게 안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원인은 최근에 설치한 프로그램과 기존에 설치했던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인한 가능성이 높은데요. 이게 또 최근에 설치했던 프로그램을 지운다고 해서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있어서 필요한 윈도우10의 기능이 있습니다. 


■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사용 방법


설정 메뉴로 접근하는 방법은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시스템 순으로 찾아 간 뒤 시스템 복원을 클릭하면 됩니다. 


중간에 보면 '시스템 복원'이라는 메뉴가 보이는데요. 여기를 클릭하시면 되겠습니다.


① 복원 지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보이는데요. 선택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② '추가 복원 지점 표시'를 누르면 위 화면처럼 3가지 혹은 그 이상의 복원 지점에 대한 리스트가 나오니 의심스러운 지점을 선택해서 진행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③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 검색'을 누르면 말 그대로 복원이 되었을 때 사라지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프로램을 검색해 줍니다. 

선택이 완료됐다면 '다음' 버튼을 눌러 진행해 봅니다.


복원지점을 확인한 뒤 '마침' 버튼을 누르면 복원이 진행되는데요. PC성능에 따라 걸리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해결되는 경우는 굉장히 부드럽게 해결되는 경우구요. 아예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위 화면과 같은 윈도우 화면 자체를 보지도 못하기 때문에 무용지물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윈도우 설치 CD나 USB를 넣어서 마치 설치할 것처럼 진행하다 보면 보원 관련 옵션이 나오는데요. 이 부분은 관련 포스팅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설정하는 방법


위 이야기에 이어서 팁을 드리자면 시스템 복원 설정이 안 된 상태에서는 과거 어느 시점으로 되돌리는게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개는 마지막 옵션인 포맷을 택할 수 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복원 설정을 미리 해두는게 중요합니다. 시스템 보호 메뉴가 나오는 화면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① C드라이브는 설정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D드라이브는 해제가 되어 있죠. 해당 부분을 클릭합니다.

② '구성'버튼을 눌러봅니다.


① '시스템 보호 사용'에 체크하시구요.

② 최대 사용량을 적절하게 정해 봅니다. 선납선출 형식이기 때문에 설정한 공간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제일 오래된 데이터부터 삭제된 뒤 업데이트를 합니다.

③ '확인'이나 '적용'버튼을 눌러 설정을 완료합니다.


추가로 오늘 설치한 프로그램이 왠지 찝찝하게 나의 하드를 뒤집어 엎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면 복원 지점을 수동으로 만들 수 있는데요.


① 시스템 속성 화면에서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② 임의의 이름을 적어 봅니다.

③ '만들기' 버튼을 눌러 완성합니다.


간단하게 윈도우10 시스템 복원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과 복원하는 방법까지 소개해 드렸는데요. 사용할 일이 없을 것 같더라도 꼭 복원 설정은 해두시기를 권장합니다. 개인적으로 윈도우가 정신줄을 놓았을 때 복원할 지점이 없으니 내 정신줄을 놓게 되더군요. 도움이 되는 정보였다면 공감버튼 클릭 잊지 마셔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