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부동산)

주식에서의 PER, 부동산에서의 PIR 그 의미와 활용 방법-part3

by 베터미 2017. 4. 19.
반응형

짧게 적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길어져서 연재가 되고 있습니다. 앞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서의 PER, 부동산에서의 PIR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활용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고 있는데요. PIR을 고려하면서 보게 되는 데이터는 여러 측면에서 가공의 여지와 해석의 여지가 있어서 다시 내용이 길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서, 통계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을 드렸는데요. 해당 사이트에서 정보를 뽑아서 구미에 맞게 구성을 해 봤습니다. 아래 표를 한 번 보겠습니다.


※ 2016년 4분기 기준 평균소득

 구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가구

1,365,274

2,856,014 

3,912,847 

5,143,607 

8,279,116 

 근로자가구

1.948.825

3.295.456 

4.301.869 

5.558.247 

8.770.125 

 1분위와의 소득차

 

1,490,740 

2,547,573 

3,778,333 

6,913,842 

 2분위와의 소득차

 

 

1,056,833 

2,287,593 

5,423,102 

 3분위와의 소득차

 

 

 

1,230,760 

4,366,269 

 4분위와의 소득차

 

 

 

 

3,135,509 

 평균소비성향(%)

112 

80 

74 

68 

58 

 가구원수

2.44 

2.98 

3.31 

3.49 

3.52 


※ 2017년 기준 중위소득

 구분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금액

1,652,931 

2,814,449 

3,640,915 

4,467,380 

5,283,845 


앞서 설명드렸던 통계의 함정을 조심하라던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의 실제 수치를 가공해 봤습니다.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고시 자료를 참고했구요. 평균소득의 수치들을 보면 몇가지 해석할 수 있는 점이 생깁니다.

 1. 분위별 소득격차가 어마어마합니다.

 2. 평균소비성향의 격차가 어마어마합니다.

여기서 평균소비성향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에서 세금 등의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 중에서 소비를 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00%가 넘어가면 가계의 실질적인 소득은 마이너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가구원수가 소득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몇가지 시사할만한 점을 뽑아 보면

 1. 저소득층은 빚을 내야 생활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소득과 가구원수의 경향성을 봤을때 당연한 얘기지만 돈을 충분히 벌어야 인구가 늘 수 있겠다는 점입니다. 물론, 돈을 많이 버는 사람끼리 모여 살수도 있다는 통계적 허점이 있을수도 있지만 상식적으로는 관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3. 중위소득과 평균소득간의 격차가 큰걸로 봐서 같은 분위내에도 소득차이가 크게 벌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분위의 경우 가구원수가 2.4명인데요. 근로자가구 기준 소득이 2백만원 정도고 중위소득 기준으로는 2인과 3인의 중간 정도라 고려해도 3백만원 정도가 나오는데 저소득층은 평균소득이 중위소득보다 적다는것은 실제 소득이 적은 사람이 평균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3분위, 4분위, 5분이 이렇게 올라갈수록 평균소득이 오히려 중위소득보다 크게 나오는데요. 이걸 보면 실제로는 일부의 고소득층이 평균 이상의 초고소득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분위의 구성이 3백만원 버는 사람이 20명이 모여서 평균 3백만원이 될 수도 있고 6백만원 버는 사람 5명과 2백만원 버는 사람 15명으로 구성되어 평균 3백만원이 될 수도 있다는 얘깁니다.


이렇게 평균소득과 중위소득을 저글링하듯이 돌려가며 쳐다보면 우리 사회가 정말 양극화되어 있구나 하는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저글링


이제 PIR로 다시 돌아와 보겠습니다. PIR에서 기준이 되는 소득은 서울의 경우 도시지역(2인이상) 기준 분위소득이고 전국의 경우 전국(2인이상) 분위소득 기준입니다. 주택가격은 각각 서울, 전국 기준 가격을 적용한거구요. 간단하게 3분위 기준으로 그래프를 만들어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가로축이 기간이고 세로축이 PIR을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해석해 보면 재밌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또, 생각보다 길어져서 다음 시간에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 계층의 양극화는 체제 붕괴의 필요조건이 된다. - 마르크스


반응형

댓글


TOP

All right reserved